1. 기본계획 방향설정
∙모델학교숲 유형에 맞는 방향설정 - 지역연계형 모델학교숲
 -2000년 학교숲 시범학교로 선정되어 녹색학교로서의 틀은 갖춰져 있으나 학생들의 이용 빈도가 낮아 이를 보완 수정
 -2010년 9월 기숙사 신축에 맞추어 그 주변을 기존 학교숲과 연계한 녹지공간으로 조성
 -지역주민과 연계하여 지역사회의 거점공간으로써의 기능과 효과를 높임
∙학교구성원 의견 적극 수용
 -휴식 공간 확대, 산책로 조성, 체험․학습공간 마련, 계절감 수종식재
∙비오톱(Biotope, 소규모 생물 서식 공간)조성을 통한 친환경 관찰․학습공간 조성
∙학교숲은 학생들의 정서순화와 교육장으로 활용 가능한 계획
∙학교구성원 뿐 아니라 지역주민들도 이용할 수 있는 공간 조성
∙환경친화적 재료와 공법의 사용으로 탄소중립 학교숲 조성을 위해 노력
![]()  | 
| 기본계획 도입개념 | 
 ○계획방향
 - 학생 및 교사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설계
 - 지역주민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공간구성
 - 공간별로 숲을 조성하였으나 크게 하나의 숲이 될 수 있게 설계
 ○계획개념
  - 기존의 숲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설계에 고려함
 - 학교 곳곳에 주차장 재조성, 낙후된 시설 재정비, 식재대 조성 등 설계
 - 학생들이 학교에서의 추억을 남길 수 있게 프로그램 계획
○계획내용   
 ① 시간의 숲
- 학생들이 등교하면서 볼 수 있는 정원으로써 사계절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수종을 선정하여 식재
   - 지역주민 및 학생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
   - 시계탑을 설치하고 학생들이 타임캡슐을 묻을 수 있게 충분한 공간을 둠
② 이야기의 숲
   - 기존의 학교숲을 이용하여 학생들 및 지역주민들에게 ‘숲 속 도서관’을 이용할 기회를 제공
   - 숲 내부에 산책로를 조성하여 사색을 즐길 수 있는 공간 제공
   - 벤치를 설치하여 휴식 공간 제공
   - 야외행사시 무대를 설치하여 행사공간을 제공
 ③ 지혜의 숲
- 숲에서의 학습을 권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야외학습장의
     벤치 및 파고라 설치
- 고목에 학생들의 꿈과 희망을 적어 달아 놓는 ‘소원나무 만들기’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목표를 상기시켜 줌
④ 우정의 숲
   - 기숙사 뒤편의 공간을 숲으로 재조성하여 친구들과의 만남 및 휴식을 취       할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
   - 벤치를 설치하여 만남의 장 제공
   - 기존의 숲과 어우러지는 숲으로 조성하여 연결된 녹지 축을 구성
 ⑤ 건강의 숲
   - 학교 정문과 가장 가까운 공간으로 학생뿐 아니라 지역주민들이 쉽게 출입 가능한 공간에 건강의 숲을 조성하여 간단한 운동기구를 설치하여 건강 증진의 기회 제공
   - 산책 및 조깅을 할 수 있게 산책로 조성
   - 벤치를 설치하여 시원한 녹음을 즐길 수 있는 공간 제공
그 밖에
   - 주차장 재 조성, 건물 녹화, 플랜트 박스 설치, 기숙사 출입로 조성 등과
   - ‘기운이 샘솟는 길’, ‘우정이 싹트는 길’, ‘사랑이 피어나는 길’, ‘행복이 가득한 길’, ‘추억의 샛길’ 등의 학교 순환로 및 산책로를 조성
공간별 계획
공간구분 
 | 
주요내용 
 | |
이야기의 숲 
 | 
 - 기존의 학교숲을 이용하여 학생들 및 지역주민들에게 
   ‘숲 속도서관’을 이용할 기회를 제공 
 - 창고 뒤편의 유휴공간을 기존의 숲과 연계하여 숲 확장 
 - 숲 내부에 산책로를 조성하여 사색을 즐길 수 있는 공간 제공 
 - 벤치를 설치하여 휴식 공간 제공 
 - ‘숲 속 도서관’의 시설물은 자연물과 가까운 형태와 질감 
   으로 함 
 -이야기의 숲 내부의 야외 도서관은 지역 행사 및 지역주민의     야외 결혼식 등의 행사 개최로 인해 이동식 수납벤치를 설치함 
 | |
지혜의 숲 
 | 
- 숲에서 학습을 권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  연못 옆에 벤치를 둠 
- 고목에 학생들의 꿈과 희망을 적어 달아 놓는 ‘소원나무 만들기’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목표를 상기시켜 줌 
- 숲 내부에 산책로를 조성하여 사색을 즐길 수 있는 공간 제공 
- 기존의 야외학습장의 벤치를 재정비 및 시설물 보충 
-기존야외학습장엔 수고가 높은 나무가 식재되어있어 파고라 
  설치가 어려움 
  (대신 벤치위에 천막이나 지붕을 제작하여 학습공간에 제공) 
- 실습동 뒤쪽의 유휴공간을 기존의 숲과 연계하여 숲 확장 
- 유휴공간의 수종은 기존의 숲에 있는 수종을 도입 
 | |
우정의 숲 
 | 
- 기숙사 뒤편의 유휴공간을 숲으로 재 조성 
- 파고라 및 벤치를 설치하여 만남의 장 제공 
- 기존의 학교숲과 어우러지는 숲으로 조성하여 연결된 녹지 축을 구성 
 | |
건강의 숲 
 | 
-기존의 부족한 운동기구를 교체 및 보충해줌 
-벤치를 두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 
-기존의 스탠드에 녹음수를 식재하여 이용률을 높임 
 | |
시간의 숲 
 | 
-부족한 휴식공간을 위해  벤치 설치 
-시계탑 설치와 타임캡슐 프로그램 공간을 둠 
-사계절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수종을 식재 
 | |
기타공간 
 | 
-실습동과 후문사이에 경사면에 나무계단을 설치 
-나무계단 옆 경사면은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초화류를 식재 
 | 

![]()  | 
| 기본계획도 | 
부지조성 
  계획 
 | 
1. 계획기준 
∙학교가 갖는 자연성, 다양성, 개방성, 쾌적성 확보 
∙지형의 변화가 최소화 되도록 기존 지형을 최대한 유지 
∙학생 및 근린주민의 편의를 도모하며 환경 친화적인 부지조성 
∙효율적인 유지관리와 경제성을 고려 
∙이산화탄소 배출 및 에너지손실을 최소화하는 친환경적 부지조성 계획 
2. 부지조성설계 
∙기존의 숲과 연계하여 유휴공간을 숲으로 확장하고 녹지축을 연결해주는 계획 
∙기존 녹지대는 기존수목의 원활한 생육을 위하여 지형의 변화를 배제하나 원활한 표면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고려 
∙기존구조물의 마감, 바닥의 고저 등을 고려한 부지조성 
 | 
동선계획 
 | 
1. 계획기준 
∙차량의 통행을 최소화함으로써 보행자 중심의 동선을 도모 
∙솦 속에 동선을 내주어 잔디 훼손을 최소화 함 
∙공간계획에 있어 차량동선을 최소화하여 보행과 이용자 중심의 학교 숲 조성 
∙산책로는 자연에 가까운 곡선의 동선으로 계획 
2. 동선설계 
■ 차량동선 
∙기존의 차량동선을 이용 
■ 보행동선 
∙학교숲 내 순환할 수 있는 산책로를 조성하여 산책, 자연경관 감상 등 다양한 행태를 유도 
∙숲 속의 산책로는 1∼1.5m 정도의 폭으로 계획하고 곡선형 동선으로 계획 
 | 
포장 및 
  배수계획 
 | 
1. 계획기준 
∙포장은 이용자의 이용 빈도, 동선의 종류, 경제성, 유지관리 및 미관을 고려하여 결정 
∙포장 재료는 자연재료를 이용한 포장설계를 원칙으로 하며, 장단점을 비교하여 공간별로 적합한 재료를 선택 
∙공간의 특성 및 이용자행태를 고려하여 재료를 선택 
∙주된 부분에는 친환경적인 흙 포장, 점토 및 잔디 블럭 도입 
2. 재료선정기준 
∙보행에 안전하고 내구성이 있으며 관리가 용이한 포장재료 선택 
∙자연적인 질감으로서 학교공간에 어울리는 재료선정 
∙인위적인 재료를 최대한 배제하고 재활용 가능한 친환경적 재료를 선택 
3. 배수계획 
∙기존 트랜치를 최대한 활용함 
∙녹지 내 표면배수를 원칙으로 함 
 | 
식 재 계 획
   및 설 계     1. 계획기준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표 6. 식재계획기준
구 분 
 | 
 주요내용 
 | 
향 토 성 
 | 
∙자연환경에 적합한 향토수종도입 
∙식물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수종 선정 
 | 
경 관 성 
 | 
∙4계절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수종 선정 
∙수목의 크기, 형태, 질감 등이 주변 환경과 조화 
∙공간별 특성을 반영한 경관 및 녹음식재 
 | 
교 육 성 
 | 
∙수변, 수중식물 및 자생초화류 식재 
 | 
2. 공간별 계획 
표 7. 식재공간별 계획 
  | 
  | 
시설물계획 
 | 
1. 계획기준 
∙ 각 공간별 기능을 고려하여 분위기에 어울리는 시설물을 선택 
∙ 조경시설물은 기능적 측면 및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결정 
∙ 자연적이며 재활용 가능한 소재 사용을 원칙으로 하며 인체공학적 측면을 감안하여 시설물규모 결정 
2. 시설물계획 
∙각 시설물은 독립적인 기능 및 통일적 형태를 유지하도록 계획 
∙자연 소재 활용 및 주변 환경을 고려한 친환경 디자인 계획 
∙다양한 이용자의 편리성, 안전성을 고려한 무장애 공간 계획 
∙학교숲 내 통일된 분위기 연출을 위한 재질, 색상 등 고려 
∙고가의 시설물을 배제하고 재활용 가능한 시설물을 제작 
∙이야기의 숲 내부의 야외 도서관은 지역 행사 및 지역주민의 야외 결혼식 등의 행사 개최로 인해 이동식 수납벤치를 설치함 
3. 시설물설계 
  | 
![]()  | 
| 식재부분 상세설계 | 
![]()  | 
| 시간의숲 | 
![]()  | 
| 이야기의 숲, 지혜의 숲 | 
![]()  | 
| 우정의 숲 | 
![]()  | 
| A-A' 단면도 | 
| 건강의 숲 평면도 | 
![]()  | 
| 기타 상세도 | 

    활용계획 
학교숲 조성과정의 학생 참여 활동프로그램
학교숲을 통한 구성원 참여프로그램
구분 
 | 
학생 참여 프로그램 
 | 
운영참가자 
 | 
학교 숲 
조성 전 
 | 
- 희망하는 학교숲 설문조사 
  (요구도 조사) 
- 학교숲의 선진사례 답사하기 
 | 
-학교구성원 
 춘천생명의숲 
 전문가 
 | 
학교숲 
조성 과정 
 | 
- 학교숲 가꾸기에 대한 사전교육 
- 학교숲 가꾸기(나무심기)활동에 참여하기 
- 학교숲에 있는 수목에 대한 사전교육 
 | 
-학교구성원  
 춘천생명의숲 
 조경회사 
 전문가 
 | 
학교숲 
조성 후 
 | 
- 학교숲을 이용한 체험 및 야외활동하기 
- 수목가꾸기 
- 계절별 초화류 관찰하기 
- 학교숲 탐방하기 
- 산책로 탐방하기 
- 나무이름표 달아주기 
- 학교숲 사진찍기 
 | 
-지차체  
 학교구성원 
 춘천생명의숲 
 조경회사 
 전문가 
 | 
공간별 활용 프로그램
학교숲을 활용한 체험프로그램
구 분 
 | 
내 용 
 | 
교육활동 
 | 
교육장소 
 | 
학교숲 
알아가기 
 | 
-학교숲을 가꿔나갈 구성원들이 학교숲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와 여러 가지 숲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. 
 | 
-나무이름알기 
-계절별 꽃피는 
 식물알기 
-숲 속 걷기 
 | 
-지혜의숲 
-이야기의숲 
-시간의숲 
 | 
학교숲과 
생태계 
 | 
-학교숲을 하나의 생태계로 보고 관찰하여 숲의 생태계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. 
 | 
-연못 관찰하기 
-연못 주변의 
수생식물과 곤충 
관찰 
 | 
-지혜의숲 
-시간의숲 
 | 
학교숲과 
우리들 
 | 
-학교숲에서의 휴식을 통해 숲을 더 친근하게 느끼고 자연스럽게 함께하는 것에 대한 목적으로 한다. 
 | 
-숲속도서관 이용 
-학교 숲에서 
 동아리 활동 
-산책하기 
 | 
-이야기의숲 
-우정의숲 
-건강의숲 
 | 
학교숲과 
지역주민 
 | 
-학교숲이 수업시간외에는 지역주민과 함께 할 수 있도록 개방하고 함께 가꿔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. 
 | 
-숲 산책로 걷기 
-운동기구 이용 
-계절별 꽃피는 
 수목관찰 
 | 
-학교숲  
 전체 
 | 
학교숲  
다시보기 
 | 
-학교숲이 이전의 모습과 어떻게 바뀌었는지, 생태계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보고 학교숲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알아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. 
 | 
-학교숲  
 전체 
 | |
학교숲과 
함께  
갈 길 
 | 
-앞으로 학교숲을 가꾸어나갈 일원으로써 학교 숲에 대한 의미와 자신의 목표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. 
 | 
-학교숲  
 전체 
 | |










